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보조배터리 때문에 비행기 못 탄다?! 공항에서 생긴 황당한 사례들

by hope2hope 2025. 3. 31.
반응형

보조배터리 때문에 비행기 못 탄다?! 공항에서 생긴 황당한 사례들

 

“그냥 가방에 넣었는데, 비행기 못 탄다고요?”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보조배터리 때문에 탑승 거부를 당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제선이나 보안 검색이 엄격한 항공사의 경우, 정확한 규정을 모르고 가져간 보조배터리가 압수되거나 탑승이 거부되는 일도 실제로 발생하죠.

이번 글에서는 공항에서 발생한 보조배터리 관련 실제 사례와 함께, 2025년 최신 반입 기준, 예방 방법까지 정리해드립니다.

1.  공항에서 발생한 보조배터리 관련 실제 사례

📌 사례 1: 위탁수하물에 넣었다가 압수당한 경우

서울에서 방콕으로 여행을 떠난 김 모 씨는 공항에서 가방 안에 있던 보조배터리 때문에 위탁 수하물이 개봉 검사되었습니다.

알고 보니 보조배터리는 기내 반입만 가능하고, 위탁 수하물에는 절대 넣으면 안 되는 물품이었죠.

문제는 보조배터리만 압수된 게 아니라, 가방까지 손상되었다는 것.

👉 교훈: 보조배터리는 꼭 기내용 가방 또는 손가방에 넣어야 합니다.

 

📌 사례 2: 규정 용량 초과로 탑승 불가

미국 출장길에 오른 이 모 씨는 30,000mAh 보조배터리를 소지하고 있었는데요, 보안 검색에서 용량이 문제 되어 탑승 직전에 압수됐습니다.

2025년 기준, 기내 반입 가능한 보조배터리는 100Wh 이하 (약 27,000mAh 미만)입니다.

30,000mAh는 공식 기준 초과로, 항공사 승인이 없는 경우 기내 반입 불가입니다.

👉 해결책: 제품 뒷면의 Wh(와트시) 또는 mAh(밀리암페어시)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 사례 3: 정체불명의 배터리로 보안검색 지연

어떤 승객은 브랜드 미표기, 라벨 없는 보조배터리를 휴대하다 보안 검색에서 한참 동안 발이 묶였습니다.

검색 요원 입장에서는 정체를 알 수 없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잠재적인 위험물로 분류됩니다.

👉 팁: 제품 구매 시 정품, 안전 인증 표시, 정식 라벨이 있는 제품만 구매하세요.

 

2. ✈️ 2025년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규정 정리

  • 100Wh 이하 → 자유롭게 반입 가능 (대부분 20,000mAh 이내)
  • 100~160Wh → 항공사 사전 승인 필요
  • 160Wh 초과 → 기내 반입/위탁 모두 불가

또한 보조배터리는 반드시 손에 들거나 기내용 가방에 넣어야 하며, 위탁 수하물에 절대 넣으면 안 됩니다.

 

3. 📌 여행 전 꼭 체크할 점

  • 보조배터리 용량 확인 (제품 뒷면 또는 설명서에 표시)
  • 제품에 Wh 또는 mAh 표기가 있는지 확인
  • 위탁수하물이 아닌, 기내용 가방에 넣기
  • 해외 항공사 이용 시, 해당 항공사 공식 규정 페이지 확인

 

✅ 마무리하며

보조배터리 하나 때문에 비행기를 놓치는 일, 실제로 벌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국제선, 환승 항공, 미국·유럽 항공사 이용 시 보안 기준이 더 까다로울 수 있으니 꼭 사전 점검 하셔야 합니다.

한 번의 확인이, 불필요한 비용과 시간 낭비를 막아줍니다.

 

📲 여행 전, 내 보조배터리 용량부터 체크하세요!

반응형